|
| 시공명리학으로 본 형충파해 |
지난 글에서는 巳酉丑 삼합을 기준으로 한 酉金의 시공간 흐름을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그 이후
— 酉戌亥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 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지지가
서로 만나면서 발생하는 물형(物形) 변화와 비틀림의 원리를
살펴봅니다.
1️⃣ 酉卯 — 沖(충)
酉金이 卯木을 만나면 沖(충)이라 부릅니다.
그
이유는 두 에너지의 속성이 정반대이기 때문입니다.
- 酉金 — 응축, 내향, 결정된 에너지
- 卯木 — 확산, 외향, 생명력의 분출
서로 정반대의 파동이 충돌하며, 酉金은 卯木을 충해야 자신의 속성을 유지하고, 卯木 또한 酉金을 충해야 생기를 유지합니다.
하지만 이 충돌 속에서 卯木의 생기가 상하기 쉽습니다.
卯木은 생기(生氣), 酉金은 살기(殺氣)이므로 결과적으로 생명이 상하는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酉金은 땅속의 에너지, 卯木은 지상의 에너지로
서로 다른 공간층에 속하므로 공존이 어렵습니다.
2️⃣ 酉辰 — 合(합)
酉金이 辰土를 만나면 六合(합)이라 합니다.
지구의
회전축을 여섯 등분한 구조 속에서 서로 상대의 위치를 바꾸며 주기적으로 만나기
때문입니다.
즉, 물리적 거리의 결합이 아니라 시간적 추격 관계입니다.
삼합운동처럼 물질의 순환을 표현하지 않고, 지속적인 추적과 집착의 에너지로 작용합니다.
- 酉月에 辰土를 만나면 → 진토 속 乙木이 상함
- 辰月에 酉金을 만나면 → 酉金이 부드러워져 변질됨
즉, 辰酉 합은 성장 에너지(乙木)를 손상시키는 구조로, 겉보기엔 안정처럼 보여도 내부의 부식이 일어납니다.
3️⃣ 酉巳 — 合(巳酉합)
酉金이 巳火를 만나면 巳酉합이라 부르며, 巳酉丑 삼합 중 생지(巳)와 왕지(酉)가 만난 상황입니다.
- 巳月에 酉金을 만나면 → 사화(巳火)의 꽃이 酉金 씨종자로 변환
- 酉月에 巳火를 만나면 → 씨종자의 원료를 계속 제공
끊임없는 생산과 전환이 일어나는 합이지만, 물형 변화의 균형이 깨지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巳중 丙火와 酉중 辛金이 만나면 丙辛합이 일어나며 둘
중 하나의 가치가 상하게 됩니다.
빛(丙火)은 금(辛金)에 흡수되어 어둠
속으로 사라지므로, 대부분 흉하게 작용합니다.
4️⃣ 酉午 — 破(파)
酉금이 午화를 만나면 破(파)라 부릅니다.
子卯午酉
구간에서는 에너지 변화가 급격히 발생합니다.
| 구분 | 작용 | 변화 내용 |
|---|---|---|
| 酉子 破 | 子水의 폭발력으로 酉金의 물형 변화 | 庚金은 상하고 辛金은 부드러워짐 |
| 子卯 刑 | 卯木이 子水의 속성을 변질시킴 | 壬水는 고갈되고 癸水는 발산 에너지로 강화됨 |
| 卯午 破 | 午火가 卯木의 甲乙 木을 변화시킴 | 甲木은 상하고 乙木은 딱딱해짐 |
| 午酉 破 | 酉金이 午火의 丙丁 火를 변화시킴 | 丙火는 작용력 상실, 丁火는 무기력 |
이처럼 破(파)는 단순한 파괴가 아니라, 물형 구조를 재편하는 자연적 진화 과정입니다.
5️⃣ 酉未 — 無名의 조합
酉未 조합은 명칭이 없습니다.
겉보기엔 흉하지 않지만, 未土 내부의 乙木이
답답하게 갇혀 있고
酉中 庚金과 乙庚합을 이루며 辛金에 상합니다.
즉, 乙木의 생기가 위험해지는 구조입니다.
명칭이 없다고 해서 반드시 길하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6️⃣ 酉申 — 同質의 충돌
酉金이 申金을 만나면 동질 오행의 결합입니다.
둘
다 금(金)이지만, 운동 방향이 반대입니다.
- 申金 — 丙火에 의해 딱딱해져 가는 과정
- 酉金 — 丁火의 수렴으로 이미 응축이 끝난 상태
즉, 성질은 같지만 움직임은 반대이기에 내적 갈등이 발생합니다.
7️⃣ 酉酉 — 複吟(복음)
동일한 지지가 겹치는 상태로, 동질 에너지가 중첩되며 가치가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사주에 酉酉가 있으면 같은 시공간을 약 30년 동안 반복하며 삶의
형태나 활동 범위가 정체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시공의 순환이 멈춘 구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8️⃣ 정리 — 형충파해의 본질
地支에서 형(刑)·충(沖)·파(破)·해(害)가 발생하는 이유는
상이한
에너지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물형의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이 변화의 강도와 결과에 따라 각각의 명칭이 부여됩니다.
이는 동일 오행 내의 생장쇠멸 과정일 뿐, 시공간의 확장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반면 삼합운동(三合運動)은
9개월 단위로 시공간이 넓게 열리며, 다양한 오행이 교차하고 기운과 물질이 공존합니다.
이로 인해 辰戌丑未 같은 墓庫 개념과도 연결되어
복잡한 명리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형(刑)은 부딪힘이고,충(沖)은 서로를 알아보는 눈부심이다.
파(破)는
깨지는 아픔 속에서 태어나는 새 질서이며, 해(害)는 다음 순환을 위한 고요한
준비다.
모든 비틀림은 결국, 생명을 위한 순환이다.
